고배당주를 배당기준일 2주 전에 사서 배당락일에 파는 전략이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배당기준일은 오는 27일, 배당락일은 28일이다. 고배당주의 경우 배당금이 배당락일 주가 하락폭보다 크고, 배당기준일 전 많은 투자금이 몰리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14일 교보증권이 최근 5년(2017~2021년) 간 고배당주(배당수익률 5% 이상)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배당기준일 2주 전에 매수해 배당락일에 매도하는 전략을 취할 때 양호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락일 시가에 매도 시 평균 3.68%, 종가에 매도 시 2.76% 수익률을 기록했다. 배당기준일 다음 해에 지급하는 실제 배당금을 포함해 계산한 수치다.
평균 수익률뿐만 아니라 수익을 거둔 종목 비중도 높았다. 배당기준일 2주 전에 매수한 고배당주를 배당락일 시가에 매도할 때 88.3% 종목이 양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종가 매도 시 80.8% 종목이 플러스 수익률을 거뒀다.
실제 배당금이 배당락일 주가 낙폭보다 큰 게 전략이 유효한 배경으로 꼽힌다.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배당락일엔 통상 투자자들의 매도세로 주가가 떨어진다. 실제 배당금을 지급하는 날은 배당기준일의 다음 해 4월께다.
강민석 교보증권 연구원은 “실제 배당금이 배당락일 하락폭보다 크면 수익을 거둘 수 있다”며 “배당기준일 2주 전부터 고배당주에 자금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것도 제시한 투자전략이 유효한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코스피 고배당 50 지수는 매수세가 몰리며 최근 1개월 간 3.61% 올랐다. 코스피지수 수익률(-3.01%) 보다 높다.
교보증권은 4분기 예상 배당수익률이 5% 이상인 고배당주 가운데 주당배당금(DPS)이 최근 꾸준히 증가한 기업을 골랐다. 올해 예상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늘어나 배당여력이 충분한지도 고려했다. 그 결과 KT&G, LX인터내셔널, GS건설, 한국앤컴퍼니, HD현대 등이 투자할 만한 종목으로 꼽혔다.
강 연구원은 “실제 배당 가능성이 높은 고배당주를 선별하는 게 중요하다”며 “당기순이익이 늘어나는 기업엔 배당 기준일 2주 전 매수, 배당락일 매도 전략을 사용할 만하다”라고 했다.
출처 : 한경
'정보의 받아 > 주식,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미들 '투심' 꾸준히 담은 종목들 (0) | 2023.02.20 |
---|---|
전문가들이 뽑은 살만한 주식 (0) | 2022.12.27 |
주식 팔고 채권으로 - 개미들 20조어치 쓸어담다 (0) | 2022.12.14 |
2023년 국내 주식시장 전망 (0) | 2022.11.21 |
버블장 이후 가치주 강세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