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부 많이들 하시죠? 커뮤와 유툽 돌아다니면 주식 열기가 장난 아닙니다. 거기서 주로 가르치는 게 세 가지 팁만 알아도 대박 날 수 있다고 합니다.
★ 이미 고가를 치고 있는 기업이 아닌 저평가주를 찾아라.
★ 매출표를 유심히 보라. 매출 떡상한 기업이 돈 벌어준다.(ex. 테슬라)
★ 주식 매매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매수 타이밍이다.
이러한 가르침을 받고 영끌 해서 투자해보니 과연 기대한 만큼 수익이 나던가요? 아마 대부분의 경우 참담한 실패를 경험하였을 겁니다.
강사와 선배들이 얘기한 대로 했을 뿐인데 왜 실패했을까요? 혹시 정보가 잘못된 걸까요?
초보 투자자들이 꿀팁이라고 알고 있는 정보에 심각한 오점이 있다는 걸 아는 건 왜 꼭 실패한 후가 될까요?
위 세 가지 팁들에 대체 어떤 것이 숨어 있기에 '나'는 왜 맨날 미끄러지는 걸까요?
첫 번째 착각, 저평가된 기업은 잘만 찾으면 노다지다?
큰돈을 벌려면 PBR이 낮은 저평가주를 찾으면 된다 하지만 요즘엔 누구나 기업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어서 저평가된 기업은 잘 들여다보면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PBR : 주가/자산. 저평가주 : 기업이 가진 것에 비해 관심도가 낮은 것). 예를 들어 금융주를 보겠습니다. 금융주는 사양산업에 속해 있거나 미래 성장력이 안 좋습니다.
은행은 대출 이자와 수수료로 돈을 법니다. 돈으로 돈을 버는 곳이어서 돈 잘 벌고 튼튼하죠. 그러나 최근 금리 인상과 정부의 대출규제로 전망이 어두워 저평가주지만 매력적인 투자가 되지 못합니다.
두 번째 착각, 매출이 높으면 투자해도 좋다?
매출을 올리는 손쉬운 방법은 물건을 싸게 팔면 됩니다. 나쁜 기업들이 매출을 올리기 위해 왜곡하는 지표입니다. 그렇기에 함정이 숨어있는 매출로만 기업을 평가해서는 안됩니다.
카카오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메신저와 각종 편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카카오, 이용자가 늘어날수록 고정비만 증대해 매출이나 이익이 마이너스입니다. 그러면 상식적으로 망해야 하는데 지금 어떤가요? 최근 정부 규제 여파로 조금 주춤하지만 이용자가 늘면서 네트워크 영향력은 커졌고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며 시가총액 7위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앞으로 규제 여파가 어떻게 흘러갈지 주시해야겠지만 단순히 매출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엔 위험하겠습니다.
세 번째 착각, 주식 매매는 매수를 잘해야 한다?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이라는 주식 격언이 있습니다. 즉, 사는 것도 어렵지만 파는 것은 더욱 어렵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싸게 샀더라도 손절을 제때 못하면 좋은 매매가 안됩니다. 그러면 좋은 매도 타이밍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1. 매수했던 가격을 넘어섰을 때.
2. 처음 주식을 살 때 생각했던 점이 잘못됐다는 것이 확인됐을 때.
3. 다른 주식을 사거나 현금 비중 확대 및 포트폴리오 변경이 필요할 때.
그리고 분할 매수와 분할 매도는 반드시 지키고 한 번에 매도하기보단 비중을 적절히 정해 서너 번에 나눠서 매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주식이나 부동산, 가상화폐 등으로 큰돈을 벌고 싶은 건 누구나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방대한 정보들 사이에서 거짓과 진짜를 골라내는 능력이 있어야 가능하죠. 그 능력엔 기본 경제 상식이 바탕에 있어야 합니다. 주식은 절대 한 가지 이론과 방향대로만 흘러가지 않습니다. 다양한 변수들이 곳곳에서 등장하죠. 거기에 흔들리지 않고 맞서려면 맨탈이 강해야 합니다. 실전에 앞서 기초적인 경제 상식으로 투자의 힘을 길러 꼭 성공합시다.
'정보의 받아 > 주식,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의 때 최고의 재테크?....10여년 간 몇십만원씩 주식을 사라 (2) | 2022.04.07 |
---|---|
주식 부자 김동환프로, 주식하락장에서 이 원칙 꼭 지켰다 (0) | 2022.04.06 |
달러투자로 하루 300 수익 가능? (0) | 2021.09.29 |
커피 한 잔 값으로 시작하는 존리의 주식투자 10계명 (0) | 2021.09.22 |
코인투자 4가지 원칙! (0) | 2021.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