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상식, 건강

무선 청소기의 하얀가루 밀가루? 벌레?

by 깨끗한 하늘 2022. 9. 9.
반응형

혹시 집에서 어떤 청소기 쓰시나요? 요즘에는 편의성 때문에 유선 청소기보다는 보통 무선청소기를 많이 쓰시는데요.

 

 

흡입력도 예전에 비해 많이 좋아져서 이제 유선 못지않은 청소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삼성과 LG 제품에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바로 무선청소기 겉에 자꾸 먼지가 붙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이게 먼지가 아니었다는 것입니다.

 

최근 인터넷에 LG와 삼성 무선청소기를 쓰는 사용자들로부터 이런 사진이 제보되었습니다.

 

 

언뜻 보기에 그냥 하얀색 먼지가 붙은 것 같아 보입니다. 특히 삼성 무선청소기 중 ‘청정 스테이션’에서 이러한 제보가 많았는데요. 

 

 

이 하얀 가루들이 보이시나요? 이 하얀 가루들의 정체는 바로 ‘벌레’였습니다. 이름은 바로 ‘가루 응애’라고 하는 다소 귀여운(?) 이름의 벌레인데요. 이 가루 응애는 ‘곡물 응애’라고도 불리는 해충입니다.

 

 

몸길이가 약 0.5mm 내외인, 정말 작은 벌레고 진드기의 일종이라고 하는데요. 주로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발생하고 번식력이 어마어마하다고 합니다. 위 사진만 봐도 알 수가 있겠죠? 

 

원래 가루 응애는 곡식을 주로 먹는 벌레인데, 청소 과정에서 청소기에 들어가고 청소기가 덥고 습한 환경으로 유지되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독 삼성의 ‘청정 스테이션’의 제품에서 많은 제보가 있었던 것을 보면 해당 제품이 최고의 생육환경(?)을 제공한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일단 저런 상황일 때 대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삼성전자

1. 가루 응애가 번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소기 내 '먼지봉투'를 폐기

2. 제품 전체를 대형 비닐에 넣어 밀폐시켜 퍼지는 것을 차단

3. 15일 동안 밀폐를 유지해가며 5일 간격으로 먼지봉투를 교체

4. 위 방법으로 제거되지 않을 시 삼성 서비스센터에 연락해서 세척 조치를 받음

5. 집 주변, 혹은 집 내에 가루 응애 발생 원인이 있으며, 이 원인이 제거되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음

 

◆ 엘지전자

1. 먼지비움 기능 3회 실행

2. 기존 먼지봉투 폐기

3. 제품 내부의 프리필터와 배기필터를 분리해 세척

4. 먼지봉투 설치 부 주변과 제품을 소독용 티슈로 깨끗하게 닦음

5. 위 소독과정 후 먼지봉투 새것으로 교체

6.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센터로 접수

 

가루 응애는 엄청나게 무서운 해충은 아니지만 요즘은 대개 무선청소기를 거실에 두고 쓰는 경우가 많아, 그냥 놔둘 경우에는 집안 곳곳으로 퍼질 수도 있습니다. 오늘 바로 무선청소기 한번 확인해 보시고, 만약 사용 중에 위 사진과 같은 하얀 가루가 생긴다면 가루 응애를 의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